[강신웅교수의향토인문학이야기] 청맹(靑盲)을 핑계로 이성계의 부름을 피한 정온(鄭溫)
[강신웅교수의향토인문학이야기] 청맹(靑盲)을 핑계로 이성계의 부름을 피한 정온(鄭溫)
  • 경남미디어
  • 승인 2019.08.23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말 사헌부의 최고 관직을 담당했던 대사헌에 올라
이성계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두문동과 지리산에 은거
진주로 낙향하여 사봉면 사곡리에 우곡정을 짓고 수양
청맹인지 눈을 찔러 확인하는데도 꿋꿋하게 버텨

<40> 진주지역 서원~~선현 <20>

진주시 사봉면 사곡리에 있는 우곡정(隅谷亭).
진주시 사봉면 사곡리에 있는 우곡정(隅谷亭).

사기(史記) 전단열전(田單列傳)에 실려있는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을 역대로 중국에서와 한국에서 직접 행동으로 실천했던 분들이 실제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 않다.

최초 중국 제(齊)나라의 왕촉(王燭)이 자기나라를 멸망시킨 연(燕)나라의 신하로 살기를 거부하고 기탄없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기록이 있다. 그 후, 한국의 경우는 조선건국에 동조하지 않고 조선왕조의 건국을 끝까지 부정하며 두문동(杜門洞)으로 은거한 소위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과 어린 조카 단종을 폐위시키고 즉위한 세조 수양대군에 대하여 처절한 죽음으로 대항한 사육신이 있었다.

상기의 ‘두문동칠십이현’이나 ‘사육신’처럼 역대에 보기 드문 충절 충신 중 한 분이 바로 진주출신의 우곡(隅谷) 정온(鄭溫) 선생이다. 그의 거룩한 충절의 혼이 남아있는 곳이 현재 진주시 사봉면 사곡리에 있는 우곡정(隅谷亭)이다. 그러나 그의 애절한 충절행동에 비해 우곡정은 문화재 등급이 매우 낮은 경남도문화재자료 정도로 되어 있음에 오늘의 우리 진주인에게는 매우 안타까울 뿐이다.

우곡정(隅谷亭)은 원래 고려말 우곡(隅谷) 정온 선생이 은거하였던 곳이다. 정온은 고려말의 중신으로 조선 태조의 역성혁명(易姓革命)에 반대하여 두문동(杜門洞)과 지리산(智異山) 청학동(靑鶴洞)에 은거, 수양하다가 낙향하여 이곳에 정자를 짓고 우곡정이라 불렀다.

정온 선생은 고려말 1324년에 태어나 관직이 자헌대부(資憲大夫)까지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소위 청맹(靑盲:겉보기는 멀쩡하지만 점차 실명되는 눈병)을 핑계로 고향 진주로 낙향하여 끝내 조선왕조에 출사하지 않았던 우리 지역 출신의 보기 드문 충절인이다. 그 후 1694년(숙종 20년)에 진주의 정강서원에 배향되었으나, 고종(1868) 때 서원철폐령으로 그 서원은 훼철되고 없다.

정온 선생은 진주 정씨 우곡공파의 시조로서 고려시대 사헌부의 최고 관직을 담당했던 대사헌을 지냈다. 사헌부는 오늘날 감사원과 같은 일을 보는 곳으로 현실정무를 논평하고, 공직업무를 감사하며 풍속을 바로잡는 것은 물론 억울함을 풀어주고 외람되고 거짓된 것을 금하는 등의 업무를 관장하는 곳이었으니 우곡선생이 대쪽같은 성품을 지녔음이 분명하다.

고려 말 이성계가 혁명을 일으켜 조선을 건국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두문동과 지리산 청학동에 은거 수양하다가 진주로 낙향하여 우곡정을 짓고 말년을 보냈다. 우곡은 정자 앞뜰에 못을 파고 주위에 백일홍 나무를 6그루 심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지켜 은둔생활을 하였는데 태조(太祖)가 사위 이제(李齊)를 이곳까지 보내어 초빙하였으나 차마 왕명(王命)을 거역치 못하여 눈을 뜬 봉사가 되었다고 거짓 핑계로 사양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우곡정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성계가 정온 선생을 영입하기 위해 수차례 사람을 보냈으나 선생은 이를 사양하였으며, 급기야는 눈뜬 봉사가 되었다고 핑계를 댄 것입니다. 이성계는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제를 진주로 내려보냈습니다. 이제가 내려와 우곡을 만나보니 우곡정 난간에 앉아 눈을 뜬 채 멍하니 앞을 보고 있었습니다. 이제가 청맹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솔잎으로 눈을 찔렀더니 눈동자는 움직이지 않고 선혈(鮮血)만 낭자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태조 이성계는 다시는 정온 선생을 찾지 않았으며 정온 선생은 말년에 이곳에서 조용하게 세상을 보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1393(태조 2년)에 건립했던 우곡정은 1849년에 중수하였으며 1976년에 중건하여 오늘에 전한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3량구조(三樑構造)이며, 팔(八)자와 같이 날개를 편 모양의 팔작지붕으로 중앙 어칸(御間)에 대칭이 있고 좌우에 방이 있는 평면이다. 전면 뒷마루에는 닭 모양의 계자난간(鷄子欄干)으로 둘러진 누(樓)마루 형식이지만 지면에서 그리 높지 않고, 아궁이는 배면(背面)에 있다. 그리고 대문 밖 앞뜰에는 낚시하던 못이 거의 원형(原形)으로 보존되어 있고, 오른편의 우곡마을 뒷산에 우곡선생의 묘소가 있기도 하다.

정온 선생은 우곡정 앞에 못을 파고 주위에 백일홍 나무 6그루를 심고,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며 은둔생활을 했다.
정온 선생은 우곡정 앞에 못을 파고 주위에 백일홍 나무 6그루를 심고,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며 은둔생활을 했다.

상기 우곡 정온 선생의 대쪽같은 충절정신은 후대 진주지역에 형성되었던 소위 진주정신(주체정신, 호의정신, 평등정신)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진주는 예로부터 국지인재지부고(國之人材之府庫)라 하여 ‘나라에 인재를 공급하는 창고’로 불릴 만큼 많은 인물을 배출한 곳이며, 또 “조정 인재의 반은 영남에 있고 영남 인재의 반은 진주에 있다”라고 할 정도로 인재가 많았다. 특히 충절·문화·예술·교육·사상가 등 후세 사람들의 정신적 사표(師表)가 되는 분들이 많았다. 고로 진주는 충절의 고장 1번지 답게 고려조의 문하시랑 하공진(河拱辰) 선생, 거란의 10만 대군을 물리친 은열공 강민첨(姜民瞻), 여진족을 두만강 너머로 몰아내고 함경도의 국경을 다진 양정공 하경복(河敬復) 장군, 동시에 단종을 보위하다가 순절한 우의정 정분(鄭奔), 계사년 진주성 싸움의 삼장사인 최경회와 황진, 그리고 김천일과 논개와 같은 진주출신의 충절인들이 충절과 애국정신의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바로 그 분들의 올곧은 정신은 오늘날 진주정신의 바탕으로써, 하나같이 자유·평등·정의·주체정신 속에 학문과 문화예술을 숭상했으며 시대를 정확히 예감하는 진취적이고 능동적인 기상을 형성했다. 그 기상이 이어져서 말보다는 행동으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기질은 청맹으로 충절정신을 실천한 우곡 정온 선생의 그토록 강인하고 거룩한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정신으로 보다 강화되면서 소위 오늘날 진주정신인 주체(主體)·호의(好義)·평등(平等)정신으로 승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오늘도 우곡정에 가면 그 분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는 연못과 그 때 그 분이 직접 심은 백일홍 나무들이 있고 그들은 마치 민족이나 국가, 더욱이 자기 고향에 대한 아무런 애착도 없이 그저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적지 않은 각성과 교훈을 주는 듯하다.

강신웅

본지 주필

전 경상대학교 인문대학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988, 4층 (칠암동)
  • 대표전화 : 055-743-8000
  • 팩스 : 055-748-14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선효
  • 법인명 : 주식회사 경남미디어
  • 제호 : 경남미디어
  • 등록번호 : 경남 아 02393
  • 등록일 : 2018-09-19
  • 발행일 : 2018-11-11
  • 발행인 : 황인태
  • 편집인 : 황인태
  • 경남미디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7481400@daum.net
ND소프트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선효 055-743-8000 7438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