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웅 교수의 향토인문학 이야기] 고인돌 다수 발견된 대평면 일대 선사시대 거주지로 확인
[강신웅 교수의 향토인문학 이야기] 고인돌 다수 발견된 대평면 일대 선사시대 거주지로 확인
  • 경남미디어
  • 승인 2019.11.26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53년 경지정리사업 중 고인돌 발견되면서 세상에 알려져
수차례의 발굴 결과 대평면 남강 변 일대서 400여동 집터와
4000㎡가 넘는 밭 등 발견 국내 최대 선사시대 유적지 인정
마을 주변 커다란 환호 파고 목책 세운 흔적 ‘전쟁’유적까지
대평면 남강 변에 청동기문화박물관 건립하여 역사 보전
진주 대평면에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진주 대평면에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옛날부터 진주의 대평면은 아름다운 남강 변에 펼쳐진 큰 들판이라는 뜻의 ‘한들’로 불리어져 왔다. 이곳에는 ‘도깨비 바윗돌’이라 불리는 큰 바윗돌이 여러 곳에 있었는데, 1953년 경지정리 사업을 펼치던 중에 고인돌로 확인되면서 이곳이 선사시대 유적지라는 것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이다. 아쉬운 것은 이미 수많은 유적들이 파괴되고 훼손되어 사라졌다는 것이다.

1967년에 그 중요성이 알려지게 된 이래, 1975년부터 약 5년간의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95년부터 16개 기관이 참가하는 대규모 발굴이 이루어졌다. 발굴지역은 대평, 상촌, 귀곡, 옥방, 묵곡리 등 181만여㎡에 이른다.

수차례의 발굴 결과 대평면 남강 변 일대에서 400동이 넘는 집터와 4천㎡가 넘는 밭이 발견되었다. 6곳의 깊게 파인 1∼2줄의 환호(還湖)와 환호 내부에 둘러진 튼튼한 목책, 옥과 석기를 만드는 공방의 흔적 등이 발굴되면서, 국내 최대의 선사시대 유적지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특히 발굴된 유골 중에는 머리가 잘려 없거나, 화살촉과 함께 있는 것이 출토되었고 마을 주변에 커다란 환호를 파고 목책을 세웠던 것으로 보아, 2500년전 진주 사람들은 한창 전쟁을 치르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곳을 배경으로 KBS 역사스페셜에서는 ‘2500년 전 한반도는 전쟁 중이었다’라는 주제로 방영되기도 했다. 현재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총 1만2573점으로 21개 기관에서 분산 보관하고 있으며, 진주시에서는 유물이 발굴되었던 대평면 남강 변에 청동기문화박물관을 건립하여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환호(環湖)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마을 주변에 땅을 파서 만든 도랑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 대평면 주변의 선사 유적지의 환호는 주변에 나무를 세워서 울타리를 만든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 진주의 대평마을에서는 다양한 곡물을 재배했으며, 돼지도 길렀던 것으로 보인다. 물로 남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숲에서 짐승들을 사냥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삼한시대까지 돼지보다는 사슴들이 훨씬 더 많이 여러 지역의 유적지에서 출토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진주지역의 선사시대 유적지에서 출토된 자료들을 보면 그 시대에는 가축을 기르기보다 사냥을 더 많이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사용된 그릇은 무늬가 없는 무문토기로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와 비교될 수 있다. 대표적인 무기는 석검과 활, 창 등이었다. 지배층들은 권위와 권력의 상징인 옥을 장신구로 썼으며 남강을 따라 교역이 성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에 옥을 가공하는 방법은 간석기(竿石器)를 만드는 방법과 거의 같다. 원석에서 필요한 크기만큼 빼어내 원하는 모양으로 갈아 만들었다. 옥을 가는 숫돌을 옥마석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대평에서는 다양한 옥마석이 많이 발굴되었다.

대평은 남강변에 자리했던 마을 중 규모가 가장 컸다고 볼 수 있다. 대평 마을이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은 대평 마을이 옥 가공품을 생산했기 때문이다. 옥은 지금도 귀하지만, 청동기 대에는 아주 귀했다. 당시 옥은 권위와 권력의 상징으로 옥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전쟁도 불사할 정도였다.

대평리 유적에는 청동기시대 공방도 발견되었다. 그 주변에는 돌이나 옥을 갈고 다듬는데 사용한 도구와 돌가루, 미완성 석기와 옥 제품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옥은 대평의 특산물이었고, 근래까지 옥이 유명했다. 이 근처에는 옥과 관련된 곳이 많은데, 대평 옥방, 산청 옥산, 하동 옥종, 옥산 등의 지명이 있기도 하다.

청동기시대 옥 가공품은 주로 벽옥(碧玉)과 천하석으로 만들었다. 벽옥은 대롱 모양으로 많이 만들었고, 크기는 0.4㎜에서 12㎝까지 아주 다양했다. 천하석(天河石)은 아마존스톤(amazon stone)이라고도 불리며, 아주 맑은 청록색이다. 옥 장신구는 굽은 모양, 둥근 모양, 반원모양 등 다양하다.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뜰에 재현해 놓은 청동기 시절 마을.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뜰에 재현해 놓은 청동기 시절 마을.

남해안 연안의 청동기시대 무덤 곳곳에서 대평의 옥이 발견되고 있다. 대평의 옥이 남해안 곳곳에서 발견된다는 것은 서로 옥 교역이 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옥 장신구를 구하기 위하여 특산물이나 생필품을 배에 싣고 남강을 따라 대평 마을로 전국 각지의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오늘날 진주시 대평에 있는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은 진주 팔경 중의 하나인 진양호 호반 길을 따라 대평 방향으로 가다보면 호숫가에 진주 청동기문화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다. 대평이라는 말, 그대로 넓은 들판이라는 뜻으로 옛날에는 무우의 특산지로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쳤던 곳이기도 하다.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환호(環湖)마을이 발굴된 대평리 옥방 1지구 유적 위에 세워져 있다. 1층의 입체영상방은 48석의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박물관에서 직접 제작한 3D 입체영화 ‘청동기시대 대평의 꿈 남강의 힘’이 상영되고 있다.

영화에 등장하는 대평 마을 족장은 옥목걸이를 하고 사천지역의 이금마을 족장은 조개목걸이를 하고 등장하는데,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그대로 영상화한 것이다. 이 시대에는 바닷가 사람들과 교역은 물론 전쟁도 이루어졌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야외전시장에는 청동기시대에 지었다는 움집과 다락 창고 무덤 등을 구경할 수 있다. 움집 안에는 각 시대별로 생활 모습을 그대로 꾸며 놓았고 청동기시대의 목책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상설전시장에는 토기류(土器類) 150여점과 석가류 250여점, 옥50여점 등 약 500여점의 출토된 진품 유물이 중심이 되어 전시되어 있다. 또 야외전시장에는 옥방지구 발굴을 근거로 복원된 대평 마을 축소모형과 학계의 자문과 고증을 거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움집 3동, 다락창고, 목책, 무덤군과 밭 유적 등을 전시하여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강신웅

본지 주필

전 경상대학교 인문대학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988, 4층 (칠암동)
  • 대표전화 : 055-743-8000
  • 팩스 : 055-748-14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선효
  • 법인명 : 주식회사 경남미디어
  • 제호 : 경남미디어
  • 등록번호 : 경남 아 02393
  • 등록일 : 2018-09-19
  • 발행일 : 2018-11-11
  • 발행인 : 황인태
  • 편집인 : 황인태
  • 경남미디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7481400@daum.net
ND소프트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선효 055-743-8000 7438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