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웅 교수의 향토인문학 이야기]16. 근대 도시로 진주(晉州)의 발전과정(發展過程) (하)
[강신웅 교수의 향토인문학 이야기]16. 근대 도시로 진주(晉州)의 발전과정(發展過程) (하)
  • 경남미디어
  • 승인 2020.06.11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복 후 도농복합형 통합시로 거듭 발전하고 있는 진주

일제강점기 1920년 초기까지 진주 도청소재지로 부흥


일제 문화정치 내세우며 1920년 지방자치 실시 법령 발표
개방·국제·산업화에 내륙보단 마산·부산 등 해양도시 급성장
부산·마산 등 해양도시 일제의 주요 출입구로 일본인 몰려
결국 도청 부산으로…진주시민 반대운동 벌였지만 역부족

 

진주읍, 부산·마산에 비해 발전 느려도 조금씩 도시 갖춰
1930년대 말에는 인구 늘어 읍에서 진주부로 승격되기도
진주부-진양군 나눠졌으나 광복 후 도농복합 통합돼 발전
이후 산업도시로 보다는 문화·교육 도시로 새로운 발전 거듭

조선시대 경남도청이었던 진주성 내 영남포정사 문루(정문).
조선시대 경남도청이었던 진주성 내 영남포정사 문루(정문).

1920년 7월에 일제는 문화정치를 내세우며 지방자치를 실시한다는 명목 아래 일련의 법령을 발표하였다. 그 법령의 대체적인 내용은, 도(道), 부(府), 면(面, 군(郡)은 제외)에 평의회, 협의회를 두어 도지사, 부윤, 면장의 행정에 자문 역할을 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면에서도 면장의 자문기관으로 면협의회를 신설하고 의장인 면장 이외에 여덟 사람 이상 열네사람 이내의 협의회 회원을 두는 면제 개정이 있었다. 이 협의회의 회원은 일반면의 경우는 선거에 의하지 아니하고 군수가 직접 그들을 임명하도록 하였으나 지정면의 경우 주민의 선거에 의해 선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면의 부과 금액 오원이상의 납부자에게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부여하였다. 진주면은 지정면이었기 때문에 십이 명의 협의회 회원의 선거가 았었는데, 당선자는 한국인 여덟, 일본인이 넷이었다. 그때 진주 인구 14,094명 가운데 조선 사람이 12,021명, 일본 사람이 2073 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면의 부과 금액 연액 오원 이상을 내는 유권자는 일백 열둘에 지나지 않았다.

진주는 1925년에 도청을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지역이 더욱 크게 위축하였다. 도청을 옮긴다는 소문은 1909년 6월 즈음 부산일보에서 처음 흘러나온 뒤로 여러 차례 띄엄띄엄 흘러나왔다.

그러나 진주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시위로 잠시 가라앉았다가 1924년 12월8일에 갑자기 관보에 부령 제76호로서 확정해버렸다. 이런 사실을 뒤늦게 안 진주 사람들은 도청이전방지회를 만들어 진정위원을 선출하고 총독부에 파견하는 한편 시민대회를 열기도 했지만, 결정을 바꿀 수가 없었다.

그 뒤로 도청에서 농성, 전기회사의 습격 같은 진주 사람들의 반대 시위에도 불구하고, 당국은 방지회 간부들을 구속한다든지 일체의 집회를 금지한다든지, 주도자들 사이에 이간책을 쓴다든지 하면서 그 반대 운동을 잠재우려 힘썼다. 그러한 가운데 1925년 4월1일 결국 도청은 부산으로 옮겨가고 말았다.

진주가 이웃한 부산이나 마산에 견주어 그 발전이 크게 뒤지게 되는 것은 일제 강점기에 와서 비롯한다. 부산과 마산은 일제 침략의 주요 출입문인 개항장 가운데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일본 사람들이 일찍부터 몰려들어 도시를 이루고 있었다. 일제는 바로 이러한 곳에 집중적인 지원을 하였다. 부산은 한일합방 이전부터 주로 되어 있었고, 마산포도 1914년 부로 승격하였다. 부로 승격할 당시 마산의 인구가 23,000여 명이었는데 비해 도청소재지인 진주면은 그 무렵 인구가 17,00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도청이 부산으로 옮겨간 뒤로 진주는 경남 지역의 중심지 기능을 한꺼번에 잃어버렸다. 경남지역의 여러 가지 사회운동을 아우러는 단체도 이제는 진주를 중심으로 움직이지 않고 부산으로 중심 역량을 옮길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1925년 이후로 접어들면 당시 사회운동의 선진적 역할을 하던 진주 지역의 사회 운동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침체되오가는 경향을 뚜렷이 보였다.

한편 지방자치를 위한 자문기관이 부, 면협의회로 둔갑해 버린데 대한 신랄한 비판이 게속되자 조선총독부는 1930년 12월1일 지방자치제관련 제령을 발표하여 부, 면제와 도제를 다시 개정하였다. 종래의 지정면이 읍으로 바뀌었고, 자문기관에 불과했던 협(평)의회가 의결기관인 도회. 분회, 읍회로 바뀌었다.

이러한 지방제도 개정과정에서 지정면으로 불리었던 전국 마흔 두 개 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진주면도 진주읍으로 바뀌었다. 그런 다음 읍 지역은 전국적으로 동리 명칭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진주읍은 1932년 읍 소관인 일곱 동 세리를 열일곱 정(町)으로 개편하였다. 그리하여 진주군은 한 읍(17정) 열여덟 면(138리)을 관할했다.

같은 경남 지역의 부산이나 마산이 나날이 눈에 띄게 발전하는 것에 견주어 발전하는 속도가 훨씬 뒤쳤지만, 진주읍도 사회와 경제의 측면에서 볼 때 도시의 모습을 조금씩 갖추어갔다. 인구도 조금씩 늘어나서 1930년대 후반에는 삼만 명을 넘어서게 되어 1930년대 말에 이르러 부로 승격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39년 9월 30일자 관보(관청 소식을 알린다는 뜻의 문서, 그러나 관청끼리 알릴뿐 국민에게 알리지는 않았다.)에 총독부령 제111호를 공포하여 진주군에서 진주읍을 떼어내어 진주부로 높이고 진주군을 진양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에 앞서 산업으로나 경제생활로나 가장 가까이 있는 이웃 도동면의 상대리, 하대리, 상평리, 초전리, 장재리와 집현면의 하촌리, 평거면의 유곡리, 신안리, 이현리, 판문리, 평거리와 나동면의 주약리 같은 곳을 진주읍에 함께 포함시켰다. 이렇게 해서 이제까지 진주 도시 지역의 면적이555방리(1방리는 한모의 길이가 1리, 곧 4킬로미터인 바른 네모꼴의 넓이를 뜻한다)에서 2095방리로 크게 넓혀졌고, 인구도 일만 명 가까이 늘어나서 44,918명이 되었다.

마침내 광복을 하고 대한민국정부를 수립하여 한 돌을 맞이한 1949년 8월15일 진주부는 진주시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그리고 1995년 1월 정부가 ‘도농 복합형 통합시’로 만들어야 도시와 농촌이 함께 좋아진다고 판단하여 진주시 언저리에 둘러싸고 있던 진양군을 싸잡아서 오늘의 모습으로 바꾸었다.

강신웅(姜信雄)

본지 주필

전 경상대학교 인문대학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988, 4층 (칠암동)
  • 대표전화 : 055-743-8000
  • 팩스 : 055-748-14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선효
  • 법인명 : 주식회사 경남미디어
  • 제호 : 경남미디어
  • 등록번호 : 경남 아 02393
  • 등록일 : 2018-09-19
  • 발행일 : 2018-11-11
  • 발행인 : 황인태
  • 편집인 : 황인태
  • 경남미디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7481400@daum.net
ND소프트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선효 055-743-8000 7438000@naver.com